?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간첩조작 사건 피해자 유우성씨 사진.jpg

<간첩조작 사건 피해자 유우성씨 사진 출처:네이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2014간첩조작 사건의 피해자 유우성씨가 고소한 당시 검찰 수사라인의 직권남용 혐의에 대해 공소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불기소 처분 결정했다. 직권남용의 공소시효는 7년이다.

 

공수처 수사3(부장검사 김성규)는 유씨가 고발한 2014간첩조작 사건수사에 관여한 검사 4명에 대해 29일 불기소 처분했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당시 검찰의 공소권 남용이 지난해 10월 대법원 판결로 인정됐지만, 직권남용 혐의의 공소시효 7년이 도과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지난 8월 고발된 검사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이 이를 기각했고, 이후 대면 조사 계획을 잡았으나 서면조사만 진행했다고 밝혔다. 공수처 측은 공소시효가 지났는데도 수사가 오래 걸린 이유를 묻는 질문엔 공소시효 도과 논쟁이 있다고 수사를 안 할 수 없었다. 법리검토, 자료확인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간첩조작 사건2014년 검찰이 유씨를 간첩 혐의로 기소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검찰이 국가정보원이 위조한 문서를 증거로 제출한 사실이 드러나며 수사에 참여한 검사들이 징계를 받았다. 이에 검찰은 이보다 4년 전인 2010년 이미 기소유예 처분했던 유씨의 대북송금 혐의 등을 다시 기소했고 보복 기소논란이 일었다.

 

대법원은 지난해 10공소권 남용이 인정된다며 공소기각 판결을 내렸다. 이는 검찰의 공소권 남용을 대법원이 인정한 첫 사례였다. 한 달 뒤 유씨는 나를 보복기소한 검사들을 직권남용죄로 처벌해달라며 공수처에 고소장을 접수했다. 고소 대상엔 윤석열 라인으로 분류되는 이두봉 전 대전고검장부터 김수남 전 검찰총장, 신유철 전 서울서부지검장, 안동완 안양지청 차장검사 등이 포함돼 있었다.

 

공수처는 이들을 모두 불기소 처분하면서 보복 기소여부는 판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고소인의 주장대로 공소권 남용만 따졌고, 공소시효가 지났다고 판단해 사건을 무혐의로 처분했다고 밝혔다.

 

유씨를 기소했던 검사들은 보복 기소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두봉 전 고검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 출석해 민주당 의원들의 사과 요구에 대법원 판결을 존중한다고만 답했고, 담당검사였던 안 차장검사는 5월 검찰 내부망에 글을 올려 기소와 징계절차가 우연히 시기적으로 겹친 것이며 일체의 다른 고려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스피라티비 뉴스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

  1. 6년만에 총파업 나선 서울지하철, 운행량 85%대 추락

    Date2022.11.30 By이원우기자 Views5381
    Read More
  2. 검찰, SPC 불법 승계 의혹 수사 박차, 허영인 회장 소환 조사

    Date2022.11.30 By이원우기자 Views6663
    Read More
  3. 공수처, '간첩조작 사건' 보복 기소한 검사들 끝내 '무혐의 결정'... 이유는 "공소시효 지나"

    Date2022.11.29 By이원우기자 Views12040
    Read More
  4. 검찰, '서해 피살 공무원 월북조작' 사건 서훈 전 안보실장 구속영장 청구

    Date2022.11.29 By이원우기자 Views18209
    Read More
  5. 검찰, 라임 몸통 김봉현 도주 도운 친누나 체포영장 발부.. 당사자는 미국서 연락두절

    Date2022.11.29 By이원우기자 Views11463
    Read More
  6. 법원, 혼인빙자해 지적장애인 가정에 수천만원 가로챈 40대에 징역 7년 선고

    Date2022.11.28 By이원우기자 Views7783
    Read More
  7. 법원, 김봉현 도주 도운 애인 A씨 구속영장기각! 법원은 김봉현에게만 관대하다.

    Date2022.11.28 By이원우기자 Views15994
    Read More
  8. 노조의 폭력성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쇠구슬 투척에 파업불참 기사 욕설, 협박까지..

    Date2022.11.28 By이원우기자 Views7498
    Read More
  9. 지난해에 이어 또 아이들 급식을 볼모로 삼은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

    Date2022.11.25 By이원우기자 Views11300
    Read More
  10.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족 첫 기자회견, "정부 철저한 진상규명 해야"

    Date2022.11.22 By이원우기자 Views6489
    Read More
  11. 김용 유동규에 "쓰레기라도 먹고 입원해라", 실체적 증거 없이 증언만으로 만들어진 검찰의 구속영장 증거는 언제쯤?

    Date2022.11.22 By이원우기자 Views11360
    Read More
  12. 방심위 '김어준의 뉴스공장' 법정제재 '주의' 조치

    Date2022.11.22 By이원우기자 Views5209
    Read More
  13. 예산안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시위 지속하는 전장연, 국민들의 불만은 커져만 간다

    Date2022.11.21 By이원우기자 Views12412
    Read More
  14. 하라는 보호관찰은 안 하고, 보호관찰 대상자와 동거, 성관계 맺어온 보호관찰관 A씨 징역 2년 선고

    Date2022.11.19 By이원우기자 Views22406
    Read More
  15. 이임재 전 서장 "참사 당일 경비 기동대 요청", 특수본 "확인된 바 없다, 직원들 간 진술 엇갈려"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나

    Date2022.11.18 By이원우기자 Views6674
    Read More
  16. 라임에 이어 또! 법원의 이상한 결정, 김만배 남욱 구속 연장 불허. 21일, 24일 풀려난다

    Date2022.11.18 By이원우기자 Views11885
    Read More
  17. 참사 희생자 명단 일방적으로 공개한 민들레, "본인 확인돼야 명단 삭제"

    Date2022.11.17 By이원우기자 Views21554
    Read More
  18. 검찰,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박영수 전 특검 등 불구속 기소 결정.

    Date2022.11.14 By이원우기자 Views13195
    Read More
  19. 검찰의 거듭된 구속 영장 청구 기각한 법원, 라임 몸통 김봉현 어디로 갔나.

    Date2022.11.14 By이원우기자 Views7506
    Read More
  20. 친야 성향 '더탐사', '민들레' 유족 동의 없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공개

    Date2022.11.14 By이원우기자 Views151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