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003817991_001_20240222110701071.jpg

 

[씨티경제/김성은 기자]전공의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가 “일방적이고 강압적”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전공의들의 집단행동도 일방적이고 독선적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전공의협회(대전협)는 20일 밤 성명에서 “2000명 증원 백지화”에 이어 “정부의 ‘필수 의료 (지원)정책 패키지’를 전면 백지화”할 것을 요구했다. 의대 증원뿐 아니라 필수 의료 지원책까지 거부한 것이다. 이달 초 정부는 10조원을 들여 내과·소아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 등 필수 진료과의 수가(건강보험이 병원에 주는 돈)와 지방 병원의 수가를 인상하겠다는 내용의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를 발표했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21일 브리핑에서 “의사 단체들이 필수 의료 패키지의 어떤 부분이 문제이고, 어떻게 수정하기를 바라는지 밝혀주면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구체적 지원책을 협의하겠다는데 전공의들은 협의 자체를 거부한 양상이다.

대전협은 또 성명에서 “필수 의료 패키지에는 비급여 항목 혼합 진료 금지, 인턴 수련 기간 연장, 미용 시장 개방 등 최선의 진료를 제한하는 정책들로 가득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급여(건보 적용) 진료와 비급여 진료를 섞는 혼합 진료는 의료비 과다 지출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의료계 내에서도 나왔다. 예컨대 정형외과에선 급여인 물리 치료와 비급여인 도수 치료를 묶어서 진료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혼합 진료를 하면 병·의원의 수입은 늘지만 건보 재정은 과도하게 지출될 수 있다.

전공의들이 문제 삼은 ‘피부·미용 진료 개방’도 이전부터 필요성이 제기된 문제다. 피부·미용 진료는 대부분 비급여이기 때문에 정부의 ‘가격 규제’를 받지 않는다. ‘병원이 부르는 게 값’이다. 미국·일본·영국처럼 보톡스나 필러 등 일부 시술에 대해 의사 외 다른 전문가도 할 수 있게 문을 넓히면 환자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정부 안팎에선 “결국 전공의들이 개업했을 때 고소득을 쉽게 올릴 수 있는 분야는 건드리지 말라는 의미”라는 얘기가 나온다. 지난 15일 서울 대통령실 앞에서 의대 증원 반대 집회에 참석한 원광대 전공의(1년)는 “가장 중요한 본질은 제 밥그릇”이라며 “제가 없으면 환자도 없다”고도 했다.

전공의들은 집단 사표를 내면서 “주 80시간을 최저임금을 받으며 힘들게 일해왔다”고도 했다. 장시간 근로의 가장 큰 원인은 인력 부족이다. 의료계에선 “의대 증원을 하면 전공의 근무 시간이 줄어들고 수련에 더 전념할 수 있는데도 증원을 반대하는 건 모순”이란 지적이 나온다.

전공의들이 의료법을 무시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20일 밤 기준으로 전공의 1만3000여 명 중 8816명이 사직서를 냈고 이 중 6183명이 병원을 이탈했다. 의료법상 정부가 ‘업무 개시(복귀) 명령’을 내리면 전공의들은 병원에 복귀해야 한다. 그런데도 환자를 떠난 전공의들은 휴대전화를 끈 채 정부의 ‘업무 개시 명령’과 ‘진료 유지 명령’에 불응하고 있다. 전공의들은 “개인적 사유로 사표를 냈기 때문에 업무 개시 명령에 따를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법원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전공의들의 줄사표는 개인적 차원이라기보다는 의대 증원을 막기 위한 불법 집단행동(진료 중단)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20대 후반에서 30대인 전공의들은 ‘MZ 세대’(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 출생자)로 세대 특성을 보이는 것이란 분석도 한다. 현재 전공의들은 일제히 정부·언론 등 외부와 접촉을 피하고 있다. 교수 연락을 안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신 전공의들만 모인 채팅방에선 ‘인수인계 자료를 다 지우고 (병원을) 나오라’고 하거나 ‘업무 개시 명령 대비법’ 같은 파일을 공유하고 있다. 수도권의 전직 대학병원장은 “자기 이익에 민감한 젊은 전공의들이 자기들 세계에만 머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환자를 치료하는 대형 병원 의사 중 전공의 비중이 높은 우리 의료계 현실이 전공의 집단행동의 토양을 제공했다”고 말한다. 서울 ‘빅5′로 불리는 대형 병원(서울대·세브란스·서울아산·삼성서울·서울성모)에서 전공의 비율은 30~40%에 달한다. 반면 미국·일본의 대형 병원에선 전공의 비율이 10% 안팎이다. 국내 전공의들은 집단행동을 하면 어떤 파괴력을 갖는지 스스로 잘 알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의료 파업’ 때마다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전 세 차례 의료 파업 때 정부가 고발 취하 등을 하면서 처벌받은 전공의가 거의 없다는 점도 이들의 집단행동을 부추기는 요인이라는 평가도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4 검찰vs정진상 보석 중인 정 전 실장 "이재명 대표 만나게 해달라" file 이원우기자 2023.07.04 26163
1043 '전청조' 공범 혐의 부인하던 남현희, 녹취록에선 적극 동조했다. file 이원우기자 2023.11.13 25889
1042 검찰, '난 선생이고 넌 학생이야!'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 맺어온 여교사 불구속 기소 file 이원우기자 2022.12.16 25654
1041 '더탐사' 청담동 술자리 의혹 카페 사장에게 5억원대 손해배상 소송 당해 file 이원우기자 2023.07.06 24628
1040 경찰, '대구 응급실 뺑뺑이 사망' 사건 파티마병원 전공의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 file 이원우기자 2023.06.22 24554
1039 "금연 구역이니 금연 좀 부탁드릴게요"에 딸 같은 아이 위협하며 커피잔 집어던진 중년 남성 file 이원우기자 2023.05.08 24196
1038 요양병원에 아버지 맡겼더니, 대변 치우기 힘들다고 항문 기저귀로 막아 file 이원우기자 2023.05.08 23412
1037 무려 '37명' 성관계 불법촬영한 골프 회장 아들, 미성년자 성매매, 마약투약 혐의로 재판 넘겨져 file 이원우기자 2023.06.07 23389
1036 검찰, 이재명 대표 출석 직전 선거캠프 관계자 압수수색 이어 송영길 전 대표 비서 자택 압수수색까지 진행 file 이원우기자 2023.08.17 23355
1035 부산 20대 女 살인 사건 용의자 정유정, 살해 후 경쾌한 발걸음 보여 충격 file 이원우기자 2023.06.02 23285
1034 불법촬영 성범죄 담당 경찰관, 증거 영상 보고 "흥분돼", "꼬릿꼬릿" file 이원우기자 2023.05.10 23258
1033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핵심인물 김인섭 전 대표 구속 영장 기각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23251
1032 조민씨 "나는 떳떳하다. 더 이상 숨지 않겠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2.06 23248
1031 검찰, 김만배 기자 이어 현직 판사까지 로비한 정황 포착 file 이원우기자 2023.01.10 23185
1030 아내 성폭행하려는 지인 살해한 50대 남성, 항소심서 감형받아 file 이원우기자 2023.02.01 22620
1029 검찰, 박영수 전 특검 압수수색 '대한변호사 협회 회장 선거 자금' 전달 경위 특정 file 엽기자 2023.07.18 22419
1028 황의조 사생활 유출 사건 "휴대폰 도난 당해, 지속적으로 협박 받아왔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6.29 22416
1027 하라는 보호관찰은 안 하고, 보호관찰 대상자와 동거, 성관계 맺어온 보호관찰관 A씨 징역 2년 선고 file 이원우기자 2022.11.19 22406
1026 박원순 전 서울시장 유족 "제 남편은 가해자 아닌 피해자" 황당 억지 주장. 2차 가해 이어 3차 가해까지 file 이원우기자 2023.04.20 22305
1025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테라 루나 사태 전 100억원 가량 김앤장에 송금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222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